물리전기치료의 부작용과 주의사항 > 마사지.뷰티정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마사지.뷰티 정보


정보 물리전기치료의 부작용과 주의사항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액토 댓글 0건 조회 809회 작성일 17-08-25 13:47

본문

[ 물리치료 효과 - 전기치료 부작용과 주의사항 ]


전기치료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열 효과, 화학적 효과, 자극적 효과를 나타냅니다. 

치료에 이용되는 두가지 기본적인 전류는 직류와 교류입니다. 

주파수에 따라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등으로 나누어 집니다. 

저주파 1000Hz 이하)이며 화학적 효과, 자극효과가 목적입니다.

 

 - 저주파(1000Hz이하) : 화학적 효과, 자극효과

 - 중주파(3000~6000Hz) : 4000Hz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피부저항을 적게 줍니다.

 - 고주파(100000Hz이상) : 심부열 치료


전기치료 주의사항


1. 환자에게 사용하기 전에 전기기구를 먼저 검사해봄으로써 전기쇼크를 예방한다.

2. 전류강도를 서서히 증가하고 감소함으로써 환자에게 불안감을 경감시켜 준다.

3. 치료 중에는 움직이지 않게 하고, 전기기구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4. 전기치료 시 치료부위를 따뜻하게 하고 피부의 기름기를 제거하며 전극용 젤리를 이용한다.

5. 환자의 감각이 소실되거나 감소되었을 때는 주의해서 치료한다.

6. 전극패드가 편평한지, 피부에 상처가 없는지를 확인하여 전류의 지중을 막아 화상을 방지한다.

7. 치료부위의 반지, 시계 등의 금속물을 제거한다.

8. 치료하기 전에 환자에게 느낄 감각과 치료과정을 설명한다.

9. 치료 중에는 극을 바꾸거나 갑자기 스위치를 끄지 않는다.

 

6c670e4af1efe65209cf8621350c8dfe_1503636293_1674.png
 

물리치료 효과 - 전기자극

신경근을 계속 자극시켜 주면 조직화학적, 생리학적, 행태학적인 많은 변화를 가져옵니다.

증가된 운동이나 전기자극은 근육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운동을 증가시킨 정상근의 반응은 오랜시간 전기자극을 주었을 때 일어나는 변화와 같습니다. 

근의 기능적 요구에서 근이 가장 적절하게 변화하므로 일어납니다. 

 

무릎 수술 후 등척성 운도오가 등척성 운동에 전기자극을 추가한 것을 비교한 임상연구에서

 전기자극이 등척성 운동만 받은 각각의 대퇴사두근에서 관찰되어지는 산화효소작용의 감소를

 성공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또 탈 신경근에 강한 강도로 반복적인 전기자극을 가하면 근섬유 직경이 증가하여 지체 둘레가 증가되고

근무게 감소율이 지연되어 위축이 예방됩니다.

 

탈신경근의 전기자극의 목적은 인공적으로 근수축을 유발시켜 근막을 비롯한 인접조직의 유착 및 근경직을 방지하고 

근육의 흥분성과 근장력을 유지하며 근육의 혈류량 및 영양공급을 증진시키고 탈신경 위축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며 

신경이 재생될 때까지 가능한 근육을 건강하게 유지할 목적으로 전기자극을 치료를 시행합니다.



전기자극을 피해야할 경우


1) 부종 - 전기자극 부위에 부종 및 종창이 있으면 높은 강도로 자극해야 근수축이 일어나고 

높은 강도는 통증이 유발되어 견디기 어렵기 때문에 부종 및 종창이 있는 부위는 전기자극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경한 부종의 경우 전기자극을 해도 됩니다.

 

2) 피부손상 - 피부질환이 있는 부위는 전류가 부드럽게 통전되지 못해 통증 및 불편감이 따르고 

전류의 직접 화상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피부질환 및 피부손상 부위는 바셀린 등 절연크림을 바르고 진행합니다.

 

3) 감각마비부위 - 높은 용량으로 자극해도 통증을 쉽게 느끼지 못하여 화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활동성 결핵 - 활동성 결핵이 있는 부위를 전기자극하면 결핵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5) 악성종양 - 악성종양이 있는 부위를 자극하면 악성종양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6) 심박조정기 - 심박조정기를 사용하는 환자는 부위에 관계없이 전기자극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특히 심박조정기를 부착한 가슴주위에 전류가 흐르게 해서는 안됩니다.

 

7) 혈전증 및 혈전성정맥염 - 전기자극에 따른 근수축으로 혈관벽에 붙어있던 혈괴가 떨어져나와 

색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혈전증 및 혈전성 정맥염이 있으면 전기자극하지 않습니다.

 

8) 금속 - 전기자극부위 표면에 금속이 있으면 전류가 집중되어 화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금속매입 부위는 전기자극하지 않습니다.

 

9) 감염 - 감염이 있는 부위를 전기자극하면 혈류를 따라 인접부위로 감염이 확산될 위험이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